인문, 사회과학
도서소개 > 인문, 사회과학
우리사회분석(개정증보판)2-경제외교편 덧글 0 | 조회 3,404 | 2017-05-29 00:00:00
관리자  





발행일 | 2015년 7월 10일

지은이 | 우리사회연구소

펴낸이 | 김은희

펴낸곳 | 도서출판615

주 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1가 47번지 근호빌딩 2층

전 화 | 02)3491-6015

반양장본 | 257쪽 | 188*257mm ISBN : 9788993884371

가격 : 13,000원 


<책소개>

우리사회연구소에서 한국 사회의 모순들을 집중 분석한 책이다. 개정판은 아예 교과서처럼 단원별 목표와 내용 정리, 토론 주제 등을 담아 한국 사회의 모순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도 최신 정보를 추가, 보강했다. 또 책을 분야별로 나누기로 하였다. 이번 개정증보판 2권 경제외교 편은 경제와 외교 분야를 다루고 있다.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


많은 이들이 사회 문제를 이야기하고 더 나은 사회를 바랍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지금 사회의 문제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사회연구소에서 한국 사회의 모순들을 집중 분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한국 사회의 모순을 분야별로 분석한 『종미사회를 해부한다 - 우리사회분석』이 나오자 많은 이들이 관심을 보여준 이유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애초에 사회과학서적이 팔려봐야 얼마나 팔리겠나 예상한 것과 달리 단기간에 1쇄가 다 나가고 2쇄를 인쇄해야 할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워낙 딱딱한 이론서다보니 책을 읽기가 부담된다는 의견들이 들어왔습니다. 그래서 2쇄를 인쇄하지 말고 개정판을 내자고 결정했습니다. 

개정판은 아예 교과서처럼 단원별 목표와 내용 정리, 토론 주제 등을 담아 한국 사회의 모순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도 최신 정보를 추가, 보강하기로 하였습니다. 또 자연히 지면이 늘어나는 관계로 책을 분야별로 나누기로 하였습니다. 이번 개정증보판 1 정치군사 편은 정치와 국방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동안 “책을 구하고 싶은데 절판되었다, 어떻게 구해야 하느냐”하는 문의가 많았는데 이제야 개정증보판을 내게 돼서 송구스럽습니다. 아무쪼록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또 책 내용에 대한 의견도 환영합니다. 언제든지 우리사회연구소에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부 경제

1장  미국 자본으로 사육된 한국 경제

1. 갈림길에 선 한국 경제와 미국의 원조 
2. 박정희 ‘신화’와 차관경제 
3. 미국의 시장개방 요구와 IMF 외환위기 
4. 자본시장을 주무르는 미국

2장  재벌, 경제성장의 주역인가, 외국자본의 첨병인가
 
1. 재벌의 실상 
2. 재벌, 거대한 공룡의 탄생 
3. IMF위기로 재벌 등에 올라탄 외국자본  
4. 외국의 원천기술과 특허에 얽매여 있는 재벌들 

 
3장  몰락해가는 중소기업과 파탄 난 서민경제

1. 중소기업의 현황  
2. 전혀 다른 세상에서 살고 있는 재벌과 중소기업 
3. 성장에서 소외된 서민경제 
4. 장시간 노동과 빚에 짓눌린 서민들의 자화상 
5. 중소기업 몰락과 서민경제 파탄의 구조적 원인

4장  사멸해가는 한국농업 

1. 한국농촌의 적나라한 현실  
2. 미국의 농산물 공세에 무너진 식량주권  
3. 외국자본에 좌우되는 농업생산기반  
4. 한국 농업 발전의 특징 


5장  부동산 공화국의 맨 얼굴 

1. 부동산으로 피폐해진 서민의 삶  
2. ‘부동산 계급사회’  
3. 개발정책이 부른 부동산 폭등  
4. ‘주거권’ 회복을 위하여 

 

2부  외교


1장  한국 외교력의 현황 
 
1. 형편없는 외교 역량  
2. ‘외교엘리트’, 북미국의 실체  
3. 비정상적인 ‘정상외교’ 

2장  굴욕적인 대미외교  
 
1. 불평등협정으로 짓밟힌 주권  
2. 80년대 통상개방 압력  
3. 미국이 기획한 IMF 외환위기  
4. 불평등외교의 결정판, 한미FTA  
   
3장  한국 외교의 뿌리 

1. 미국에서 수혈된 한국 외교  
2. 미국에 의한 건국 외교  
3. 한국 외교의 시작